- 목차
재산세 조회, 재산세 내야 하는 시기가 되면 고지서가 오긴 하지만, 요즘은 고지서만 믿고 있다가 놓치는 경우가 참 많아요. 특히 종이 고지서가 집에 안 오거나, 이사한 뒤 주소 변경이 덜 돼서 다른 데로 가는 경우도 있잖아요.
그래서 미리 온라인으로 재산세 조회해두면 훨씬 마음이 편합니다. 저도 처음엔 좀 헷갈렸는데, 몇 번 해보니까 이제는 익숙해져서 금방 끝내요. 여기서 제가 정리해드릴게요.
재산세 조회
재산세라는 건 말 그대로 내가 가지고 있는 부동산, 건축물, 토지, 주택 등에 부과되는 지방세예요. 기준일은 매년 6월 1일이라서 그날 기준으로 소유자가 세금을 내는 거예요. 그래서 매도 중이던 집도 6월 1일 이전에 내 이름이면 제가 내야 하는 거고, 이후에 팔면 새 주인이 내는 거죠.
납부 시기는 크게 두 번 있어요.
- 7월에는 주택 1기분이랑 건축물, 선박, 항공기 등이 같이 부과돼요.
- 9월에는 주택 나머지 절반(2기분)과 토지가 포함됩니다.
그러니까 1년에 두 번은 꼭 신경 써야 해요.
첫 번째, 위택스에서 확인하기
제가 가장 많이 쓰는 방법이 바로 위택스(wetax) 사이트예요. 지방세 통합 사이트라서 전국 어디서든 확인할 수 있거든요.
1단계, 위택스 들어가서 로그인부터 하시면 돼요. 공동인증서나 휴대폰 본인인증으로 쉽게 가능해요.
2단계, 로그인 후 메뉴에서 납부/조회 → 지방세 조회 들어가면 재산세 내역이 떠요.
3단계, 조회하면 현재 납부해야 할 세금, 기한, 전자납부번호까지 다 확인 가능합니다.
4단계, 필요하면 바로 납부까지 진행하면 끝이에요.
저도 회사 끝나고 밤에 들어가서 눌러봤는데, 은행까지 갈 필요가 없어서 참 편하더라고요.
두 번째, STAX 앱 활용하기
휴대폰으로 간단히 하고 싶을 땐 STAX 앱이 진짜 좋아요. 알림 설정해두면 납부일 다가올 때 알려줘서 깜빡하는 일도 줄어들어요.
앱 설치 후 로그인하면 바로 내 세금 조회 메뉴가 있어요.
고지서도 전자 형태로 확인 가능하고, 카드 결제나 간편결제도 할 수 있어서 은근히 많이 쓰게 돼요. 저 같은 경우엔 버스 타고 이동할 때 바로 조회하고 결제까지 해버린 적도 있어요.
세 번째, 이택스(서울 거주자)
서울 사시는 분들은 이택스(etax) 사이트도 이용 가능해요. 위택스랑 거의 비슷하지만 서울시는 자체 시스템을 운영해서 이쪽에서도 조회가 돼요. 서울에 부동산 있으신 분들은 이택스 들어가서 확인하면 됩니다.
네 번째, 고지서 활용하기
아직까지는 종이 고지서를 활용하는 분들도 많아요. 고지서에 보면 전자납부번호가 적혀 있는데, 이 번호로 조회하면 바로 확인할 수 있어요. 은행 CD/ATM기나 인터넷뱅킹에서도 전자납부번호 입력만 하면 됩니다. 저는 고지서가 집에 들어오는 순간 그 번호부터 사진으로 찍어둬요. 혹시라도 종이를 잃어버릴까 봐요.
조회 후 알 수 있는 것들
재산세를 조회하면 단순히 금액만 나오는 게 아니라 여러 가지 정보가 함께 확인돼요.
- 부과된 금액
- 납부 상태 (미납/완납)
- 전자납부번호
- 납기일
- 관할 자치단체 정보
심지어 납부가 끝나면 납부 확인서나 증명서 발급도 가능해서, 대출 서류 준비할 때 유용하게 쓸 수 있어요.
실제 체감 후기
제가 예전에 주소 변경을 안 해서 고지서가 다른 데로 가버린 적이 있었거든요. 그때 위택스로 미리 조회해봤으니 망정이지, 아니었으면 연체료가 붙을 뻔했어요. 경험상, 한 번이라도 고생해 본 사람들은 꼭 온라인 조회를 챙기게 되더라고요.
또 하나, 회사 일 때문에 바빠서 은행 갈 시간이 없었는데 STAX 앱으로 바로 해결했을 때는 진짜 신세계였어요. 결제 후 확인서까지 바로 다운로드할 수 있으니 종이 쌓아둘 필요도 없고 깔끔합니다.
알아두면 좋은 팁
제가 해보니까요, 가족 명의 부동산도 위택스에 위임 등록하면 같이 조회할 수 있어요. 부모님 대신 내 계정에서 확인하고 납부까지 도와드린 적도 있어요. 이런 기능도 있다는 거 기억해두시면 좋아요.
그리고 혹시 여러 부동산을 갖고 계시다면, 각각 납부 지역이 달라도 위택스 한 곳에서 통합 조회가 돼요. 저도 예전에 시골에 있는 토지 때문에 불편했는데, 위택스에서 한 번에 해결됐어요.
표로 정리해드릴게요
방법 | 특징 | 장점 |
위택스 | 전국 지방세 통합 사이트 | PC에서 한눈에 확인, 증명서 발급 |
STAX 앱 | 모바일 앱 | 알림 기능, 이동 중 결제 가능 |
이택스 | 서울 전용 | 서울 거주자에게 편리 |
고지서 | 전자납부번호 이용 | 익숙한 방식, 은행/ATM 가능 |
마지막으로 정리
재산세는 매년 7월, 9월 두 번 납부 시기가 있고, 조회 방법만 미리 익혀두면 절대 놓칠 일 없어요. 위택스와 STAX 앱은 요즘 필수라고 보셔도 됩니다. 제가 해보니까, 처음엔 좀 낯설어도 두세 번만 하면 금방 익숙해져요. 그러니까 미리미리 들어가서 조회해두시면 마음이 편하고, 혹시 고지서 누락되더라도 걱정 안 하셔도 돼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