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목차
65세이상 버스비 무료, 요즘 세상이 많이 좋아졌다고들 하잖아요. 근데 가만 보면, 그 ‘좋아진 세상’이 꼭 나한테 해당되는 건 아닐 때가 있어요. 특히 연세 있으신 분들은 그런 생각 더 드실 수 있어요. “이런 혜택이 있다던데, 나는 왜 못 받아?” 이런 식으로요.
근데 이번에 제가 확실하게 알아본 게 하나 있는데요, 65세 이상 버스비 무료 제도, 이거 진짜 혜택 좋더라고요. 그냥 버스 타면 무료예요. 물론 무조건 다 되는 건 아니고, 지역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어요. 서울은 2024년 8월부터 정식으로 시작했고요, 그 외 지역은 아직 부분적이긴 해도 지원이 되고는 있답니다.
📌 서울시 65세 이상 시내버스 무료 이용 안내 바로가기
65세이상 버스비 무료
65세 이상만 되면 다 공짜? 그건 또 아니에요. 해당 지자체 주민등록이 되어 있어야 하고, 교통카드도 그냥 아무 카드 쓰는 게 아니라 ‘우대용 교통카드’라는 걸 따로 발급받아야 해요. 발급은 어렵지 않아요. 신한은행이나 우리은행, 또는 주민센터에서 하시면 되고, 체크카드형, 신용카드형, 그리고 그냥 단순 무임용 카드로도 나눠져 있어요. 이왕이면 혜택 많은 걸로 신청하시는 게 좋겠죠?
제가 느낀 건 이래요. 진짜 필요한 사람이 혜택을 못 받는 경우가 많다는 거. “귀찮아서”, “어려울까봐”, “모르는 게 더 많아서” 신청을 안 하는 분들이 꽤 있거든요. 그러니까 자식분들이라도 꼭 알려드리고, 같이 가서 신청 도와드리면 참 좋겠다 싶더라고요. 65세 이상 버스비 무료 제도는 단순한 복지가 아니라, 밖에 나가서 건강하게 사람들과 어울릴 수 있게 해주는 통로 같아요. 그러니 이 글 보신 분들, 꼭 부모님께 알려드리세요. 나중엔 진짜 고맙다는 말씀 들으실 거예요.
지역마다 혜택이 조금씩 다르다구요?
이거는 진짜 놓치기 쉬운 부분이에요. 저도 “65세 넘으면 다 되는 거 아니야?” 했다가 깜짝 놀랐잖아요. 서울시는 확실하게 시내버스·마을버스 무료, 근데 경기도는 지역별로 현금 정산 방식도 있고, 아예 아직 시작 안 한 데도 있어요. 그래서 반드시 ‘내가 사는 지역’ 기준으로 확인하셔야 해요. 서울 기준으로 예를 들자면, 중구에서는 월 4만 원까지 마을버스, 시내버스, 서울택시 요금 지원이 되고요, 우대용 교통카드를 써야만 정산도 가능하대요.
지하철도 당연히 포함될 것 같죠? 근데 일부 지역은 지하철은 무임 안 되고 버스만 되는 경우도 있답니다. 심지어 공항버스나 시외버스는 대부분 제외예요. 그러니까 “이거 해준다더라~” 하는 말만 듣고 무턱대고 나갔다가는 괜히 기사님이랑 실랑이만 하고 돌아오실 수 있어요. 꼭 미리 알아보고 나가셔야 해요.
그리고 이런 것도 있더라고요. 부정사용하면 벌금이 최대 30배까지 나올 수 있어요. 이건 진짜 조심하셔야 해요. 가족이 대신 쓴다든가, 친구한테 빌려줬다든가, 그런 거 한 번 잘못 걸리면 추징금도 나오고 카드 사용 정지되니까 본인만 사용하셔야 해요. 요즘은 다 기록 남아서 못 속입니다.
또 한 가지 꿀팁 드릴게요. 교통카드 충전할 때, 너무 많이 충전하지 마세요. 왜냐하면 일부 지역은 ‘분기별 정산’이라서 사용한 만큼만 계좌로 돌려주는 식이에요. 그래서 남는 잔액은 보전이 안 돼요. 한 달 기준으로 잘 보고 충전하시는 게 좋아요. 저는 처음에 막 5만 원 충전했다가 3만 원밖에 안 써서 아까워 죽는 줄 알았어요.
모르면 손해, 챙기면 매달 이득
이 제도, 처음 들었을 땐 솔직히 “진짜 무료로 다 타게 해준다고?” 하고 의심했어요. 근데 주변에 받은 분들 얘기 들어보니까, 그게 아니라 진짜로 매달 교통비가 제로가 되는 분들도 있더라고요. 서울시만 해도 한 해 예산이 수천억 단위로 잡혀 있다는데, 이런 혜택을 우리가 안 쓰고 있으면 진짜 아깝잖아요. 뭐든지 아는 사람이 챙기는 세상, 맞죠?
저희 친정아버지도 처음엔 “아유 됐어~ 타봐야 얼마나 탄다고~” 하시더니, 교회, 복지관, 동네 마트 다니면서 교통카드 긁는 맛에 완전 신나셨어요. 그리고 정산받는 재미까지 붙이셔서, 이젠 충전한 금액 확인하는 게 일상이 됐대요. 진짜 말 한 마디, 행동 하나로 어르신들 삶의 질이 달라지더라고요.
65세 이상 버스비 무료라는 게 단순히 돈을 아끼는 게 아니에요. 그 혜택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느냐가 중요해요. 귀찮아도 한 번만 가서 신청하고, 우대용 카드 받아서 쓰다 보면, 이건 단순한 ‘공짜’가 아니라 “아, 내가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이런 걸 누릴 자격이 있구나”라는 자존감도 생겨요.